2025년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주요 내용 완벽 정리 | 기업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변경사항
페이지 정보

본문
산업안전보건법은 한국의 근로자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기본법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법률 전문이 필요하지만, 제가 알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주요 내용 정리
법의 목적
-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하기 위해 제정
- 산업재해 예방과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통해 근로자의 생명 보호 및 건강 증진
적용 범위
-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
- 일부 업종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부분 적용 제외 가능
주요 의무 주체
- 사업주의 의무: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 선임
- 안전보건교육 실시
-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시행
- 위험성평가 실시
- 작업환경측정 및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 근로자의 의무:
- 안전보건규칙 준수
- 사업주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이행
안전보건관리체제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일정 규모 이상 사업장에서 임명 의무
- 안전관리자: 유해·위험 사업장 배치 의무
- 보건관리자: 일정 규모 이상 사업장 배치 의무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사업주의 안전조치 의무
- 기계·기구 등의 안전성 확보
- 폭발, 화재, 붕괴 등 위험 방지
- 전기, 열, 방사선 등에 의한 위험 방지
- 추락, 붕괴 등의 위험 방지
- 보호구 지급 및 착용
사업주의 보건조치 의무
- 유해 가스, 분진, 소음, 진동 등 작업환경 관리
-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 조치
- 작업환경측정 실시
- 근로자 건강검진 실시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안전 인증
- 유해·위험한 기계·기구·설비 등은 안전인증 필요
- 안전인증 또는 자율안전확인 대상 기계·기구 등의 제조·수입·양도·대여 제한
도급 사업 안전보건 관리
-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안전보건 조치 의무
- 도급인의 산업재해 예방 조치
- 위험작업 도급 금지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
- 중대재해 발생 시 즉시 보고
- 산업재해 기록 및 보존
- 재해 발생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벌칙
- 안전·보건조치 의무 위반 시 처벌(징역 또는 벌금)
- 중대재해 발생 시 가중 처벌
- 과태료 부과
근로자 참여 및 알 권리
- 작업중지권: 위험한 상황에서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권리
- 건강진단 결과 통보
-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 제공(MSDS)
산업안전보건법은 2019년 전면 개정되어 2020년부터 시행되었으며,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이 법은 중대재해처벌법과 함께 한국의 산업안전보건을 지키는 핵심 법률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이전글산업안전보건법 벌칙 - 과태료 25.03.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